바로가기 서비스




본문

직원소개

연금제도연구실

기초연금팀
성명 최옥금 : 연금제도연구실장, 선임연구위원, 사회복지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성균관대 철학ㆍ사회복지학 학사
  • - 성균관대 사회복지학 석사
  • - 성균관대 사회복지학 박사
  • - 한림대 BK21 산학협력단 박사후연구원
  • - 국무총리실 사회보험가입추진기획단 실무작업반 전문위원
  • - 기획재정부 국가재정운용계획 실무작업반 전문위원
  • - 사회보장위원회 기획전문위원회 위원
  • -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 소득재분배 소위원회 위원
주요 연구실적
  • - 최옥금ㆍ홍정민. 2021. “기초연금과 국민기초생활보장 간 역할 분담 방안에 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정책보고서
  • - 최옥금ㆍ문현경. 2021. “기초연금 급여적정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프로젝트 보고서
  • - 구인회ㆍ손병돈ㆍ강성호ㆍ우해봉ㆍ최옥금ㆍ함선유ㆍ한경훈. 2021.
    “행정데이터를 활용한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심층분석”.
    사회보장위원회ㆍ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 황남희ㆍ최옥금 외. 2021. “중장기 노후소득보장 전망 및 정책 연구”.
    저출산 고령사회 위원회ㆍ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김원섭ㆍ최옥금ㆍ김형수ㆍ이은영. 2020. “직역연금 수급권자에 대한 기초연금
    수급권 부여 타당성 연구”.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ㆍ보건복지부.
  • - 김태완ㆍ최옥금 외. 2020. “우리나라 소득분배 진단과 사회보장 재구조화 방안
    연구”.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최옥금. 2020.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시안 마련 연구: 기초연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최옥금. 2020.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제도 간 쟁점 및 현황과 발전방향”.
    국민연금연구원 정책보고서.
  • - 최옥금ㆍ이은영. 2019. “기초연금 목표수급률 설정의 타당성 검토”.
    국민연금연구원 정책보고서.
  • - 최옥금ㆍ이은영ㆍ홍정민. 2019. “2019년 기초연금의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
    국민연금연구원 프로젝트 보고서.
  • - 성혜영ㆍ최옥금ㆍ문현경ㆍ주은선ㆍ이은주ㆍ김아람. 2019. “해외 주요국 연금개혁
    사례 및 시사점 연구”.국민연금연구원 프로젝트 보고서.
  • - 김원섭ㆍ최인덕ㆍ최옥금. 2019. “주요국의 공적노후소득보장제도 수급요건에
    관한 연구”.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ㆍ국회예산정책처.
  • - 노대명ㆍ주은선ㆍ권혁진ㆍ최옥금ㆍ김현경ㆍ정해식ㆍ이원진ㆍ길현종ㆍ오상봉ㆍ
    임지영. 2019. “소득보장체계 재구조화 방안 연구: 제도간 연계ㆍ조정을 중심
    으로”.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 - 최영준ㆍ김미곤ㆍ노대명ㆍ최옥금ㆍ기현주. 2019. “문재인 정부의 소득보장 향후
    과제: 이전소득”.소득주도성장위원회.
  • - 최옥금ㆍ한신실. 2018. “기초연금 관리운영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국민연금연구원 정책보고서.
  • - 안서연ㆍ최옥금ㆍ한신실ㆍ이은영. 2018. “2018년 기초연금의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국민연금연구원 프로젝트 보고서.
  • - 김경휘ㆍ이용하ㆍ최옥금ㆍ유희원ㆍ황은정. 2017. “제주특별자지도 기초연금 기본
    재산액 공제기준 변경방안 연구”.제주연구원.
  • - 최옥금ㆍ이은영. 2017,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개선방안 연구”.국민연금연구원.
  • - 최옥금ㆍ이은영. 2017, “기초연금 도입 전ㆍ후 노인빈곤 실태분석”.
    국민연금연구원.
  • - 최옥금ㆍ안서연ㆍ이은영ㆍ한신실. 2017, “2017년 기초연금의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 국민연금연구원.
  • - 권문일ㆍ홍백의ㆍ강성호ㆍ최영준ㆍ최옥금. 2017, “기초연금-국민연금 연계제도
    현황 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보건복지부ㆍ덕성여대산학협력단.
  • - 최옥금ㆍ한신실. 2016, “기초연금 적정 급여수준에 관한 연구”.국민연금연구원.
  • - 이용하ㆍ최옥금ㆍ이상붕ㆍ한신실. 2016, “노인기초보장제도의 관리운영 방식에
    관한 국제비교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최옥금ㆍ이상붕ㆍ한신실ㆍ이은영. 2016, “2016년 기초연금의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 국민연금연구원.
  • - 최현수ㆍ여유진ㆍ김태완ㆍ임완섭ㆍ오미애ㆍ황남희ㆍ고제이ㆍ정해식ㆍ김재호
    손병돈ㆍ이상붕ㆍ최옥금ㆍ진재현ㆍ천미경ㆍ김솔휘.2016.
    “한국의 노인빈곤실태 심층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보건복지부ㆍ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이현주ㆍ강신욱ㆍ노대명ㆍ남기곤ㆍ최옥금ㆍ박형존. 2016. “고용복지 참여현황
    분석 및 조사연구”, 중앙자활센터ㆍ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이용하ㆍ임병인ㆍ성명기ㆍ최옥금ㆍ이상붕ㆍ한신실ㆍ이은영. 2015.
    “2015년 기초연금의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 보건복지부ㆍ국민연금연구원.
  • - 최옥금ㆍ한신실. 2015. “기초연금 급여 적정 수준 유지를 위한 연동방법”,
    국민연금연구원.
  • - 최옥금. 2014. “단시간 근로자 실태와 국민연금 적용방안”, 국민연금연구원.
  • - 김재진ㆍ강성훈ㆍ이용하ㆍ최옥금ㆍ송현주ㆍ이상붕. 2014. “기초연금 도입에
    따른 사회ㆍ경제적 영향 분석”, 한국조세재정연구원ㆍ국민연금연구원.
  • - 이용하ㆍ최옥금ㆍ김경아ㆍ성혜영ㆍ이상붕ㆍ서대석. 2014. “OECD 주요 국가의
    기초보장 급여적정성 평가방법”, 국민연금연구원.
  • - 이용하ㆍ최인덕ㆍ최옥금. 2014. “노인 기초보장제도와 국민연금 간 역할분담
    관계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최옥금. 2013. 국민연금 사회보험료 지원의 합리적 운영방안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최옥금. 2013. “사회보험료 지원제도와 근로장려세제의 관계 설정에 대한 소고:
    해외사례 연구를 통한 시사점 및 향후 과제를 중심으로”,대한경영학회
    26(6):1617-1634.
  • - 최옥금. 2013. “국민연금의 임의계속가입제도 운영방안에 대한 소고”, 연금학회
    3(1): 1-23.
  • - 최옥금ㆍ김봉선. 2013. “국민연금의 장애일시보상금 개선방안”, 한국장애인복지학
    20호: 103-121.
  • - 최옥금. 2013. “민영화 이후 2008년 칠레 연금개혁과 시사점”, 노인복지연구 59호:
    55-72.
  • - 정인영ㆍ김성숙ㆍ최옥금. 2012. 징수통합 후 국민연금관리 개선방안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여유진ㆍ김미곤ㆍ권문일ㆍ최옥금ㆍ최준영. 2012. 현세대 노인의 빈곤실태 및
    소득보장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신기철ㆍ이창수ㆍ권혁성ㆍ김경아ㆍ최옥금ㆍ임영덕. 2012. 한국에 적합한
    기부연금도입방안. 국민연금연구원.
  • - 최옥금. 2012. 국민연금의 임의가입ㆍ임의계속가입제도 운영방안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최옥금. 2012. "국민연금 수급권 확보방안으로서의 임의가입제도 개선방안:
    최저기준소득월액 적용방안 검토를 중심으로", 연금연구 2(2): 115-141.
  • - 최옥금. 2011. 국민연금의 일시금제도 개선방안 및 운영방향 검토,
    국민연금연구원.
  • - 오지연ㆍ최옥금. 2011. "노인가구 유형 변화와 그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53: 7-26.
  • - 강성호ㆍ최옥금. 2011. "이전소득의 빈곤 및 소득불평등 완화 효과 비교분석:
    일반 가구와 농림업 가구를 중심으로", 농촌경제 34(1): 95-117.
  • - 최옥금. 2011. "노인가구의 소비지출 유형화 및 영향 요인 분석", 노인복지연구,
    51: 277-296.
  • - 최옥금. 2011. "우리나라 중ㆍ고령자의 은퇴과정에 관한 연구: 생애주된일자리와
    가교일자리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1(1): 15-31.
연금제도팀
연금제도팀
성명 정인영 : 연금제도팀장, 부연구위원, 사회정책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University of York, Ph.D. in Social Policy and Social Work
  • - University of York, MA in Social Policy
  • - 삼육대학교 사회복지학 학사
주요 연구실적
  • - 정인영(2021). 사학연금 보험료 부과소득 상·하한 기준의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37권 1호.
  • - 김수완·정인영(2021). 사학연금과 공무원연금 비교연구, 사학연금연구, 6호.
  • - 정인영·정창률·권혁창(2020).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의 변화:영국의
    공·사적 연금제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6권 2호.
  • - 정인영·권혁창·김수성(2020). 사립학교 폐교 시 사학연금기금을 활용한 실업급여
    제공방안 연구: 현행 사학연금 규정의 문제점과 대안 검토 및 재정추계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40권 3호.
  • - 정인영(2020). 국민연금 해외수급자의 수급권 변동관리 개선방안 연구.
    사회과학연구, 31권 1호.
  • - 김수성·정인영(2019). 공적연금 연계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현행
    법제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연금연구, 9권 2호.
  • - 정인영(2019). 독일의 고령자 고용촉진정책에 관한 연구: Initiative
    50plus와 Perspective 50plus를 중심으로. 독일연구, 42호.
  • - 정인영·유현경(2019). 국민연금의 환수금 발생 처리 개선방안 연구.
    보건사회연구, 39권 3호.
  • - 정인영(2019). 캐나다 공적연금의 재정목표 및 재정지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46권 1호.
  • - 정인영·김수성(2019). 사학연금에서 폐교로 인한 퇴직 시 연금 지급개시연령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 26권 1호.
  • - 정인영·유현경(2018). 국민연금 수급권 변동관리 효율화 방안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정인영·김아람(2018). 소재불명자에 대한 국민연금 지급정지제도
    개선방안 연구. 사회복지정책, 45권 3호.
  • - 정인영·정창률·권혁창(2018). 영국의 공사적 연금제도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정인영·김아람(2018). 국민연금 가입구조 개선방안 연구:
    개인단위 연금체계로의 개편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8권 2호
  • - 정인영·권혁창·유희원(2018). 미취업 청년층을 위한 국민연금
    크레딧제도 개선방안 연구. 사회과학연구, 29권 1호.
  • - 정인영·민기채(2017). 국민연금의 고령근로 유인기제 개선방안 연구.
    사회복지정책, 44권 3호.
  • - 정인영·유희원·한신실(2017). 청년층의 국민연금 가입 제고방안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정인영·민기채·한신실(2016). 공적연금제도와 고령자 고용정책의
    보완적 발전방안. 국민연금연구원.
  • - 정인영·우해봉(2015). 장애인에 대한 노령연금 조기 지급의 타당성
    고찰. 사회복지정책, 42권 3호.
  • - 정인영·김경아·조영은·이다미(2015). 국민연금 사각지대 완화를 위한
    지역가입자 관리 개선방안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이용하·정인영·성혜영·유현경(2015). 장애인 소득보장체계의 국제비교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김경아·정인영(2015). 국민연금 가입자의 가입상태 변화 및 노후준비
    현황과 정책적 함의. 사회보장연구, 31권 3호.
  • - 정창률·권혁창·정인영(2015). 남부유럽 국가의 연금개혁 비교연구:
    이탈리아, 스페인, 그리스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2권 1호.
  • - 정인영·윤상용(2014). 국민연금법과 장애인복지법의 장애개념 및
    장애판정체계 비교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정인영·김성숙·최옥금(2013). 징수통합 후 국민연금관리 개선방안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연금제도팀
성명 유호선 : 연구위원, 사회복지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이화여대 사회학과 학사
  • - 런던정경대 (LSE) 사회정책학과 석사
  • -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박사
주요 연구실적
  • - 유호선, 2013, 연금개혁을 위한 사회적 합의과정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유호선, 이지은, 2012, 노후소득보장제도 유형별 연금제도 개혁특성 - 유럽연합
    국가를 중심으로, 국민연금연구원
  • - 유호선, 이지은. 2011. 크레딧 제도를 통한 국민연금 가입기간 확대방안,
    국민연금연구원.
  • - 김성숙, 유호선, 홍성우. 2011. 유족연금 수급자 범위와 수급권 소멸조건의
    타당성 검토, 국민연금연구원.
  • - 유호선, 2011, "복지국가 재편에 관한 담론 연구" 사회보장연구. 27(2).
  • - 권혁진, 유호선 2011, "청년층의 학교에서 고용으로의 이행 특성 : 성, 학력별
    이행과정의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8(1).
  • - 유호선. 2010. 분할연금 관련 급여체계 개선방안 검토, 국민연금연구원
  • - 유호선, 홍성우, 김형수. 2010. 급여수준 적정화를 위한 유족연금 개선방안,
    국민연금연구원.
  • - 유호선, 2010, "국민연금의 양육 크레딧제도 개선방안 연구", 사회보장연구
    26(1)
  • - 유호선, 홍성우, 2009, 사망관련 급여제도 개선방안 검토, 국민연금연구원.
  • - 김성숙, 유호선, 최은아. 2008. 수급권 소멸시효제도 개선방안, 국민연금연구원.
  • - 유호선. 2008. 노인장기요양제도가 45세 이상 여성의 고용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연금제도팀
성명 성혜영 : 연구위원, 소비자·가족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상명여자대학교 가정교육과
  • - 성균관대학교 소비자·가족학 전공 석사·박사
  • - 奈良女子大? 外?人?究員
  • - Miami University, Visiting Scholar
주요 연구실적
  • - 성혜영·유현경. 2021. 국민연금 급여 연동지수 운영방안 고찰: 주요 국가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37(3), 91-118.
  • - 성혜영. 2021. 중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와 경제적 노후준비.
    한국가족복지학, 26(1), 61-79.
  • - 성혜영·이은영. 2020. 노인가구의 소비수준을 고려한 필요 노후소득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성혜영·유호선·김형수·문현경·유현경. 2020. 공적연금제도 개선 방안.
    국민연금연구원
  • - 성혜영. 2019. 1985년 일본 공적연금제도의 구조적 개혁 사례연구.
    입법과 정책, 11(3), 179-204.
  • - 성혜영·최옥금·문현경·주은선·이은주·김아람. 2019. 해외 주요국 연금개혁 사례 및
    시사점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성혜영·김아람. 2019. 국민연금 재무설계 서비스 개선방안 -다층연금소득 강화의
    관점에서-. 국민연금연구원
  • - 성혜영·김아람. 2018 공적연금제도의 발달과 노후 생활수준의 변화.
    국민연금연구원
  • - 성혜영. 2016. 노인가구의 소비실태와 소득적정성. 노인복지연구
  • - 성혜영·이은영. 2015. 생애주기별 소비 및 저축실태 분석에 따른 노후준비 전략.
    국민연금연구원
  • - 성혜영. 2015. 중·고등학교 교육과정 체계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한 연금교육
    개선방안 모색. 교육과정평가연구.
  • - 성혜영·송현주·조영은. 2014. 연금교육 활성화를 통한 노후준비 수준 제고방안.
    국민연금연구원
  • - 이용하·정인영·성혜영·유현경. 2014. 장애인 소득보장체계의 국제비교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김경아·유호선·김헌수·성혜영. 2014. 유족연금제도의 국제비교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성혜영. 2014. 일본 피용자연금 일원화 과정. 연금포럼, vol.53
  • - 성혜영. 2014. 일본 기혼여성의 취업 및 취업형태 결정요인. 보건사회연구.
  • - 성혜영. 2013. 공공영역 노후설계 서비스의 역할과 기능. 국민연금연구원
  • - 최옥금·성혜영·조영은. 2013. 동아시아 국가의 연금제도 비교. 국민연금연구원
  • - 성혜영. 2013. 노후준비 인식과 행동에 대한 노후 생활설계 상담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 성혜영. 2013. 대만의 국민연금 도입과정. 연금포럼, vol.49
  • - 성혜영. 2012. 일본 연금개혁 2개 법안의 성립과 공적연금을 둘러싼 문제.
    연금포럼, vol.48
  • - 성혜영. 2005. 성공적 노화 모델 연구 -Rowe와 Kahn의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박사학위 논문
연금제도팀
성명 유희원 : 연구위원, 사회복지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 -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 - 중앙대학교 아동복지학 학사
  • - (前)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2018.11.-2020.5.)
  • - (前) 중앙대·경기대·협성대·덕성여대·상지대 등 시간강사(2011.3-2015.6.)
주요 연구실적
  • [학술지]
  • - 유희원·한신실(2023). 국민연금제도 내 청년의 기여공백 위험과 대응전략 검토. 사회와 복지 5(2): 1-34.
  • - 유희원·한신실(2023). 국민연금의 세대 간 형평성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의 확장: 부담(기여)과 혜택(급여)의 격차를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79: 191-219.
  • - 유희원(2022). 국민연금 개혁 관련 쟁점에 대한 시론적 검토-연금개혁의 지향·목표·수단 관련 쟁점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9(3): 27-62.
  • - 유희원·한신실(2022). 국민연금 추후납부제도의 중장기 발전방안 검토. 비판사회정책 77: 103-134.
  • - 유희원·한신실(2022).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 조정에 따른 정책효과 검토: 급여 및 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76: 59-85.
  • - 유희원·한신실(2022). 국민연금재정안정성을 바라보는 관점의 확장: 제도 내·외적 수지균형의 조화. 비판사회정책 74: 109-148.
  • - 유희원·김혜진·류재린(2022). 국민연금 사각지대 문제에 대한 대안적 접근: 누계적(cumulative) 정보를 활용한 실태분석. 비판사회정책 75: 7-31.
  • - 김원섭·유희원·이용하(2022). 4대 사회보험 관리운영체계 통합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사회 23(2): 111-141.
  • - 유희원·김혜진·류재린(2022). 국민연금 사각지대 집단 내 이질성을 고려한 표적화 대응 전략 검토. 사회복지정책 49(4): 45-76.
  • - 남찬섭·한신실·주수정·박나리·유희원(2022). 국민연금 급여수준, 과연 낮지 않은가?: OECD 타 회원국과의 비교. 비판사회정책 76: 23-58.
  • - 정인영·권혁창·유희원(2018). 미취업 청년층을 위한 국민연금 크레딧제도 개선방안 연구. 사화과학연구 29(1): 153-175.
  • - 오욱찬·유희원(2017). 국민연금제도 적용의 성별 격차 변화: 중고령층 취업자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33(3): 85-111.
  • - 유희원(2016). 공적연금제도의 재정적 지속가능성 평가. 사회복지정책 43(4): 1-23.
  • - 유희원·이주환·김성욱(2016). 국민연금의 성별격차: 남녀 간 노령연금 수급액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3(1): 27-50.
  • - 유희원(2015). 공적연금제도의 지속가능성 담보 전략에 관한 연구: 기여기반 확충전략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2(1): 103-134.
  • - 유희원(2014). 공적연금 지속가능성의 재개념화와 측정. 사회복지정책 41(4): 253-281.
  • - 김성욱·유희원(2016). 사회복지재원 구성전략과 경제사회적 성과. 비판사회정책 53: 175-212.
  • - 김교성·유희원(2015). 복지국가의 변화: 신·구 사회정책에 기초한 이념형 분석. 사회복지연구 46(1): 433-467.
  • - 황은정·유희원(2014). 일-가족 양립정책의 유형과 사회·경제적 성과. 여성연구 87(2): 237-287.
  • - 유희원·김성욱(2012). 사회투자모델의 유형과 성과. 사회복지정책 39(1): 257-281.
  • - 유희원·최영(2009). 사회투자정책의 경제적 성과에 관한 연구 - 소득보장정책과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보장연구 25(2): 141-169.
  • - 류만희·유희원(2012). 자활사업의 취·창업 성과에 관한 연구 - 희망리본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3: 605-637.
  • - 류만희·유희원(2013). 저소득층 여성의 취업지원성과에 관한 연구: 희망리본사업 참가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5: 255-279.
  • [보고서]
  • - 유희원 외(2022). 국민연금제도 내 청년층의 다중불리 경험과 대응방안 검토. 국민연금연구원.
  • - 유희원 외(2021). 국민연금제도의 사각지대 현황과 대응방안. 국민연금연구원.
  • - 유희원 외(2018). 국민연금보험료 추후납부제도 개선방안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유희원 외(2017). 국민연금제도의 재정적 지속가능성 평가. 국민연금연구원.
  • - 유희원 외(2016). 성직자 노후보장 실태와 국민연금 가입 제고 방안. 국민연금연구원.
연금제도팀
성명 김혜진 : 연구위원, 사회복지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학사
  •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
  • - University of Kansas, Ph.D in Social Welfare
주요 연구실적
  • - 김혜진, 2012,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제도 인지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2(단일호), 53-80
  • - 김혜진, 2016, “손자녀 돌봄과 중·고령자의 주관적 노후인식에 관한 연구:
    여성과 남성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1(2), 299-320
  • - Hye Jin Kim, Tracey A, LaPierre, Rosemary Chanpin, 2016,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Implications for Economic Preparation
    for Later Life In South Korea”, Ageing and Society
  • - 김혜진, 2016, “중·고령층의 국민연금제도에 대한 이해도와 국민연금가입에
    관한 연구: 남성과 여성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3(4), 255-272
  • - 김혜진, 2017, “손자녀돌봄유형과 조모의 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9(1), 59-77
  • - Hye Jin Kim, Hyun Kang, Michelle Johnson-Motoyama, 2017, “The
    psychologicalwell-being of grandparents who provide supplementary
    grandchild care: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Family Studies, 23(1), 118-141
  • - Hye Jin Kim, 2017, “Grandparent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and
    EmploymentStatus of Grandpare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Women and
    Aging
연금제도팀
성명 오종석 : 부연구위원, 경제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석박통합)
  • - 서울대학교 경제학 학사
  • - 한울회계법인 컨설턴트
주요 연구실적
  • - 국민연금을 해약하는 이상현상에 관한 실증분석, 박사학위논문, 2023
  • - 코로나19 시기 노인가구의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 변화 분석(공저, 2023)
  • - 기초연금 수급효과는 존재하는가?(단독, 2023)
  • -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rauma in Older Patients Transferred from Long-Term Care Hospitals to Emergency Departments: A Nationwide Retrospective Study in South Korea(공저, 2023)
  • -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lder Patients Transferred from Long-Term-Care Hospitals (LTCHs) to Emergency Departments by a Comparison with Non-LTCHs in South Korea: A Cross-Sectional Observational Study(공저, 2022)
  • - Correlation between income changes in the elderly receiving the basic old-age pension and suicide rates.(공저, 2022)
연금제도팀
성명 김만수 : 부연구위원, 행정학(정책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서울대 행정학(정책학) 박사
  • - University of Bristol, MSc in Public Policy
  • - 계명대 광고홍보학 학사
  • - 한국행정연구원(‘23.03.~’24.05.)
주요 연구실적
  • - 다차원 빈곤 관점에서 살펴본 기초연금의 대상 효율성과 차별적 효과(의료비 지출) 분석, 박사학위논문, 2023.02.
  • - An examination of the introduction of plain language in South Korea, 석사학위논문, 2012.12.
  • - 디지털 기술 활용이 정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주저자, 공저, 2021.08.)
  • - 정책 패러다임 관점에서 살펴본 창업정책 변화(주저자, 공저, 2021.06.)
연금제도팀
성명 유현경 : 전문연구원, 사회학 석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사회학, 석사
  • - 경제학, 학사
주요 연구실적
  • - 김혜진, 신승희, 유현경. 2019. 소득활동에 따른 노령연금 운영방안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류재린, 유현경, 오유진. 2019. 임의가입제도 최저기준소득월액 조정방안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문현경, 유현경. 2019. 다층연금체계 개혁의 동향 및 평가: 적립식 확정기여형
    제도를 중심으로. 국민연금연구원
연금제도팀
성명 이예인 : 주임연구원, 사회복지학 석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동덕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 학사
  •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
  •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원
주요 연구실적
  • - 조윤화·이예인·최승훈·주란. 2021. 2021년 장애인 빈곤 및 소득불평등 지표.
    한국장애인개발원.
  • - 유비·김경휘·이선정·조부현·김지민·곽은희·이예인. 2020. 인천자활사업 중단기
    발전계획 수립 연구. 인천시사회서비스원.
  • - 최승훈·민수빈·이예인. 2020. 현재 노인과 미래 노인의 불평등 추이에 관한
    연구: 코호트별 소득과 자산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27(3), 45-76.
기초연금팀
기초연금팀
성명 문현경 : 기초연금팀장, 부연구위원, 사회정책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성균관대학교 행정학 학사
  •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 -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MSc in Social Policy
    and Planning
  • -University of York, D. Phil. in Social Policy and Social Work
주요 연구실적
  • - 문현경·류재린(2021).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사회보험 불안정성: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21(2), forthcoming.
  • - 문현경·김혜진(2021). 존재론과 인식론이 사회과학 연구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
    국민연금제도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70: 167-206.
  • - 문현경·류재린·김원섭·유현경(2020). 고용형태 다양화에 따른 공적연금의 대응
    가능성 검토: 특수형태근로종사자를 중심으로. 국민연금연구원
  • - 문현경·유현경(2019). 다층연금체계 개혁의 동향 및 평가: 적립식 확정기여형
    제도를 중심으로. 국민연금연구원.
  • - 성혜영·최옥금·문현경·주은선·이은주·김아람(2019). 해외 주요국 연금개혁 사례
    및 시사점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Hyungyung Moon. (2018). Tracing the Process of Institutional Change:
    The Case of the National Pension Scheme Reforms in South Korea. D. Phil.
    Dissertation.
기초연금팀
성명 김아람 : 전문연구원, 개발금융학 석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응용통계학, 학사
  • - 개발금융학, 석사
주요 연구실적
  • - 류재린. 문현경. 김아람. 2020. 납부예외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유호선. 김아람. 2020. 국민연금돌봄크레딧 도입 타당성 검토.
    국민연금연구원.
  • - 성혜영. 김아람. 2019. 국민연금재무설계 서비스 개선방안-다층연금소득
    상화의 관점에서. 국민연금연구원.
  • - 이은실. 김아람. 2019. 장애연금 운영 및 개선방안 연구: 장애일시금을 중심으로.
    국민연금연구원.
  • - 김헌수, 김아람. 2018. 국민연금 보험료 지원의 성과와 개선방안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성혜영, 김아람. 2017. 은퇴 예정자를 위한 노후준비 교육 프로그램 개발.
    국민연금연구원.
기초연금팀
성명 홍성운 : 주임연구원, 경제학 석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강원대학교 경제학 학사
  • - 성균관대학교 경제학 석사
  •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원
주요 연구실적
  • - (공저) 공적연금 개혁 및 재구조화 방안, 202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공저) 청년 삶 실태조사 추진방향 수립 연구, 2022,국무조정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공저) 2021년 국가보훈대상자 생활실태조사, 2022,국가보훈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공저) 코로나19의 사회경제적 영향 분석 및 긴급재난지원금의효과평가
    연구(종합편), 2021,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 (공저) 코로나19의 사회경제적 영향 분석 및 긴급재난지원금의효과평가
    연구(지역편), 2021,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 임덕영·홍성운, 노숙인·쪽방주민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 및정책 방안,
    2021, 보건복지 Issue&Focus, 제415호
  • - 김성아·홍성운,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실태 및 정책경험 분석과
    함의, 2021, 보건복지포럼, 제292호
  • - (공저) 2020년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 2020,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 (공저) OECD ‘한 눈에 보는 연금’의 주요지표 시계열 분석에기초한 새로운
    유형의 일자리를 위한 연금개혁 방안, 2020,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
  • - (공저) 2020년 기초생활보장 실태조사 및 평가 연구,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패널조사팀
패널조사팀
성명 한신실 : 패널조사팀장, 부연구위원, 사회복지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 심리학 학사
  • -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 -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 - 前 국민연금연구원 주임연구원
주요 연구실적
  • - 한신실, 2018, 한국 사회 중고령자의 소득절벽, 박사학위논문.
  • - 김연명,한신실, 2017, 빈곤완화 효과를 통해서 본 기초연금의 정책목표 설정,.
    한국사회정책, 24(4), 89-112
  • - 안서연,한신실, 2017, 기초연금 차등보조율 개선방안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유희원,한신실, 2016, 성직자 노후보장 실태와 국민연금 가입 제고 방안,
    국민연금연구원.
  • - 이용하,최옥금,이상붕,한신실, 2016, 노인기초보장제도의 관리운영 방식에
    관한 국제비교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최옥금,한신실, 2016, 기초연금 적정 급여수준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한신실,주수정,신성희, 2015, “한국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양태의 경험적
    검토”, 한국사회복지학, 67(1), 215-237.
  • - 최옥금,한신실, 2015, 기초연금 급여 적정 수준 유지를 위한 연동방법 검토,
    국민연금연구원
  • - 정인영,민기채,한신실, 2015, 공적연금제도와 고령자 고용정책의 보완적 발전
    방안, 국민연금연구원.
  • - 김성욱,한신실, 2014, “기초연금제도 축소의 ‘트로이 목마’: 부유층
    노인수급제한조치에 대한 실증적 비판”, 한국사회복지학, 66(3), 234-251.
  • - 한신실,장동열, 2014, “빈곤층에게 자산은 소득의 대체재인가? 보완재인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주거재산 소득환산에 대한 실증적 비판”, 사회복지정책,
    41(4), 227-251.
패널조사팀
성명 홍정민 : 주임연구원, 경제학 석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한양대학교 경제학부 학사
  • - 한양대학교 경제학과 석사
  •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위촉연구원
주요 연구실적
  • - 윤충한·홍정민, 2018, 영화관람수요 추정을 통해 본 한국영화산업 특성,
    정보통신정책연구, 25(2) 99-122.
  • - 홍정민·윤충한, 2018, 영화산업에 관한 2편의 실증연구: 국가별 자료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 - 정현준, 신우철, 홍정민 외, 2018, ICT 부문 분석용 마이크로데이터 구축,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 최계영, 정현준, 정용찬, 홍정민 외, 2018, ICT통계체계 기획 및 개선방안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패널조사팀
성명 박주혜 : 주임연구원, 경제학 석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한성대학교 경제학 학사
  • - 한성대학교 경제학 석사
  • -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연구원
주요 연구실적
  • - 박주혜. 2021, “자영업가구의 소득탈루율 분석”, 석사학위논문
  • - 홍우형·박주혜·강신정.2020, “기술금융의 사회·경제적 역할에 대한 실증적 고찰:
    기술보증기금의 사례를 중심으로”, 신용카드리뷰 14(2), 67-88.

재정추계분석실

재정추계팀
성명 신승희 : 재정추계분석실장, 연구위원, 보험계리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덕성여대 통계학 학사
  • - 숭실대 보험수리학과 석사
  • - 성균관대 보험계리학 박사
주요 연구실적
  • - 신승희, 권혁진, 손현섭. 2016 “조기노령연금 감액률 및 연기연금 증액률의
    적정성 분석”, 국민연금연구원.
  • - 이항석, 신승희. 2016 “국민연금 재정평가지표의 제안 및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7(1), 75-89.
  • - 최기홍, 신승희. 2015. “미시모의실험 모형에 의한 국민연금의
    세대간·세대내 소득재분배”, 국민연금연구원
  • - 최기홍, 신승희. 2015. “생애 순혜택으로 측정한 국민연금 초기 수급자들의
    소득재분배”, 응용통계연구 28(4), 721-739.
  • - 최기홍, 신승희. 2015. “노동생명표에 의한 국민연금 가입자의 소득계층별
    생애가입기간 측정”, 통계연구 20(1), 49-70.
  • - 최기홍, 신승희. 2014. “국민연금 이력자료에 의한 계층별 특성치의
    통계적 추정”, 국민연금연구원.
  • - 신승희, 이항석. 2014. “가처분소득기준 생애소득대체율 분석”, 리스크관리학회,
    25(3). 113-142.
  • - 신승희, 손현섭, 이항석. 2014. “생존기간을 고려한 생애소득대체율의 추정”,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5(6), 1315-1331.
재정추계팀
재정추계팀
성명 김형수 : 재정추계팀장, 부연구위원, 이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연세대학교 수학과 학사
  • - 연세대학교 수학과 석사
  • - 연세대학교 수학과 박사
  • - 연세대, 홍익대 강사
주요 연구실적
  • - 김형수,「The probabilistic approach to the public pension system」,
    이학박사, 2014
  • - 최기홍, 김형수, "국민연금 재정안정화 정책의 세대별 생애효과 분석",
    국민연금연구원, 2013
  • - 최기홍, 전영준, 김형수, "국민연금의 세대간회계: 방법론과 모형개발",
    국민연금연구원, 2012
  • - 김형수,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의 관계에 대한 해석적 접근", 연금포럼 Vol.
    36, 2009. 12
  • - 김형수,「Bond option pricing based on HJM term structure」, 이학석사, 2004.
재정추계팀
성명 손현섭 : 부연구위원, 이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성균관대학교 이학 박사
  • - 성균관대학교 보험계리학 석사
  • - 숭실대학교 수학, 정보통계보험수리학 학사
  •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보험연구실 연구원
  • - 국민연금연구원 재정추계분석실 주임연구원
주요 연구실적
  • - 우리나라 공적연금의 보장성과 건전성 지표 개선, 박사학위논문, 2023
  • - 우리나라 퇴직연금제도의 현황과 개선사항 : 소득대체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2015
  • -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소득대체율 효과 분석(공저, 2023)
  • - 사망확률을 고려한 국민연금 수익비 산출(공저, 2023)
  • -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 조정에 따른 정책효과 검토(공저, 2022)
  • - 생존기간을 고려한 생애소득대체율의 추정(공저, 2014)
재정추계팀
성명 최강훈 : 주임연구원, 보험계리학 석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세종대학교 수학과 학사
  • - 성균관대학교 보험계리학 석사
주요 연구실적
  • - 최강훈.2020 "Lee-Carter 모형을 이용한 지역별 사망률 예측: 대한민국
    7개 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재정추계팀
성명 문희석 : 주임연구원, 통계학 석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건국대학교 응용통계학 석사
  • - 건국대학교 응용통계학 학사
  • - 리얼데이터 분석컨설팅부 선임연구원/li>
주요 연구실적
  • - 문희석, 2021, “R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도구 개발” 석사학위 논문
거시경제팀
거시경제팀
성명 안준홍 : 거시경제팀장, 부연구위원, 경제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Ph.D. Economics
  • - 동국대 경제학 석사
  • - 동국대 경제학과
  • - 한국조달연구원(‘22.02.~’24.05.)
  • - 에너지경제연구원(‘13.09.~’14.12.)
주요 연구실적
  • - Essays on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in Korea, 박사학위논문, 2021.07.
  • - 이동통신 설비투자와 경쟁의 관계 분석, 석사학위논문, 2013.07.
  • - 중·고령층 근로자의 퇴직 후 노동시장 복귀 및 재취업 결정 요인에 대한 분석 (공저, 2022.09.)
  • - 업무와 전공 및 교육 수준 불일치가 성별 임금 격차에 미치는 영향 (공저, 2022.10.)
  • -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유형에 따른 가사 및 돌봄 노동시간 변화 (공저, 2022.12.)
  • - 코로나19로 인한 가정 내 비시장 노동의 성별 불평등 변화 (공저, 2023.01.)
  • - 대학 전공과 직무 불일치가 노동시장 진입 초기 임금에 미치는 영향 (공저, 2023.06.)
  • - 중소기업 기술개발제품 우선구매제도 인증과 조달 실적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공저, 2023.12.)
  • - 한국의 분절된 노동시장과 노동이동 분석 (공저, 2023.12.)
  • - Does Income Inequality Move Together Across the World? (공저, 게재 예정)
  • - Gender Labor Market Outcome Differentials in Korea: How Does the Horizontal Mismatch Play? (공저, 게재 예정)
거시경제팀
성명 윤병욱 : 부연구위원, 경제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아주대학교 행정학과 학사
  • - 서강대학교 경제학과 석사
  • -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Ph.D. in Economics
주요 연구실적
  • - 윤병욱 외 3인, ‘국민연금 사회후생분석 모형연구 I’, 국민연금연구원, 2019.
  • - 윤병욱 외 2인, ‘국민연금 가입률 가정 방법론 검토’, 국민연금연구원 2019.
  • - 윤병욱, ‘국민연금제도의 위험분담 기능과 경제적 효율성’, 국민연금연구원, 2018.
  • - 윤병욱·송창길, ‘지역가입자 징수율 및 납부예외자 비중 전망연구’,
    국민연금연구원, 2017.
  • - 윤병욱·이진웅, ‘4차 산업혁명과 국민연금’, 국민연금연구원, 2017.
  • - 윤병욱 외 2인, "한국주식시장에서의 위험관리 모멘텀 투자전략," 금융지식연구,
    제 15권 1호 2017.4,pp 29-46
  • - 윤병욱 외 3인, ‘지역가입자 소득수준 및 규모 전망연구’, 국민연금연구원, 2016.
  • - Byounguk Yoon, ‘Backward Stochastic Differential Equations in Economics
    and Finance’, Dissertation,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2014.
  • - 이한식, 윤병욱. “소파동기법을 이용한 가변베타의 장기지속성 분석”,
    서강경제논집 2004 제 33편 3호.
거시경제팀
성명 김경빈 : 주임연구원, 경제학 석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Indiana University 경제학 학사
  • -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 석사
  • -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장기재정전망센터 위촉연구원
주요 연구실적
  • - 김경빈. 2016. Macroeconomic Volatility Spillovers among Major European
    Countries, 석사학위논문.
거시경제팀
성명 오유진 : 주임연구원, 경제학 석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대구대학교 경제학 학사
  • - 대구대학교 경제학 석사
주요 연구실적
  • - 오유진·홍인기, “광역지자체 부과·징수 행정 미시자료를 이용한 생태계보전협력금
    체납 특성의 파악 및 제도개선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예산정책연구』
    제7권 1호, 2018.
  • - 오유진, “부담금 부과, 징수 그리고 체납 특성에 관한 연구 - 생태계보전협력금
    행정내역 미시자료를 중심으로”, 2017. 석사학위논문

기금정책분석실

기금정책팀
성명 최영민 : 기금정책분석실장, 연구위원, 경영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한국외국어대 경영학 학사
  • - 고려대 경영학 석사
  • - 고려대 경영학 박사
  • - LG투자증권, 삼성생명
  • -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BK21사업단 연구원
  • - 서울대, 고려대, 한국외대 강사
  • - 한국거래소 주가지수 전문가협의회 위원
  • - 한국은행 금융안정포럼 위원
주요 연구실적
  • - 최영민, 이성훈, '대안적 자산배분방법론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2019
  • - 최영민, 최희정, ‘국민연금 책임투자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2018
  • - 최영민, 김민정, '국민연금 부동산 자산의 정책벤치마크 개선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2017
  • - 최영민, 윤보현, 손경우, '자산군 프로파일 변경에 기반한 전략적 자산배분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2016
  • - 최영민, 김성태, 손경우, ‘CVaR를 사용한 전략적 자산배분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2015
  • - 최영민, 유원석, 강대일, "국민연금 포트폴리오의 최적공분산 추정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2014
  • - 최영민, 강병진, 주상철, "국민연금 해외주식 포트폴리오의 변동성 활용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2013
  • - (공저), ‘위험-수익 간 이상현상의 전략적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파생상품학회지, 25(3), 2017
  • - (공저), ‘기업지배구조 요인의 투자전략 유효성 연구’, 한국증권학회지,
    45(2), 2016
  • - (공저) "주식시장 베타 비대칭성의 구조적 변화에 대한 연구", 재무연구,
    27(1),2015
  • - (공저) "옵션투자의 효용 - 포트폴리오 관점", 금융연구, 28(2),2014
  • - (공저)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대안 인덱스 투자전략 연구", 선물연구,
    22(2), 2014
  • - (공저) "Does the Moment Timing Ability of the Issuer Exist?",
    재무관리연구, 31(3), 2014
  • - (단독) "ELW시장의 투자자 유형별 분석", 선물연구, 22(3), 2014
  • - (공저) "가계재무건전성이 주택투자수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통과학연구, 12(4), 2014
  • - (공저) "소득계층별 소비 및 인적자본 예측요소 모형을 이용한 자산가격결정",
    한국증권학회지, 42(5), 2013
  • - (공저) "Complexity, Knowledge Asymmetry, and Monopolistic Competition
    : The Case of Retail Structured Product Market", 선물연구, 21(4), 2013
  • - (공저) "Analysis of Excess Premium in Retail Structured Products",
    산업혁신연구, 29(3), 2013
  • - (공저) "위험예산에 근거한 연기금 포트폴리오 액티브 운용에 관한 연구",
    재정정책논집, 15(3), 2013
  • - (공저) "APT 모형을 이용한 채권포트폴리오 수익률 분석 : 거시경제요인을
    중심으로", 금융연구, 27(2), 2013
기금정책팀
기금정책팀
성명 최웅비 : 기금정책팀장,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KAIST 산업및시스템공학과 학사
  • - KAIST 산업및시스템공학과 박사(석박통합)
주요 연구실적
  • - Choi, W. B., Lee, D., & Kim, W. C., 2021, "Extending the Scope of ALM to
    Social Investment: Investing in Population Growth to Enhance Sustainability of
    the Korean National Pension Service", Sustainability, 13(1), 401.
  • - 최웅비, 최아진, 2020, "국민연금기금 ALM 시스템에 관한 연구(1),
    국민연금연구원
  • - 최웅비, 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Korea Pension Management on
    Social System under Asset-Liability Management Framework", 박사학위논문
  • - 이동열, 최웅비, 김우창, 2016, "국민연금의 세대내 세후 소득재분배 효과
    분석", 사회보장연구, 32(3), 159-174
  • - 김민정, 최웅비, 김우창, 2015, "신탁기금 운용의 관점에서 평가한 국민연금기금의
    사회적 투자 수익률", 사회복지정책, 42(1), 211-237
기금정책팀
성명 이성훈 : 부연구위원, 경영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서강대 생명과학·경영학사
  • - 서강대 경영학(재무) 석사
  • - 서강대 경영학(재무) 박사
  • - 교보생명, 연합인포맥스, KG제로인
주요 연구실적
  • - 2016년 한국재무관리학회 남곡학술상 최우수상
  • - 이성훈·이정진·이재현, 2015, 주가수익률에 내재되어있는 투자자위기인식과
    거래행동양식, 재무관리연구, 32권 4호
  • - 이성훈·이정진·이재현, 투자자집단별 선택적 종목거래활동의 정보효율성 검증,
    2015, 경영과 정보연구
  • - 이성훈·이정진·이재현, 글로벌 위기인식전이의 존재와 방향성에 대한 연구,
    2015, 국제경영리뷰
  • - 이성훈, 2015, 투자자 센티먼트와 거래행동에 관한 세 가지 연구, 박사학위논문
기금정책팀
성명 황준호 : 부연구위원, 경영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한양대 경영학 박사(재무금융전공)
  • - 한양대 경영학 석사(재무금융전공)
  • - 경기대 경영학 학사
주요 연구실적

[연구보고서]

  • - 황준호, 오지열, 최재원, 이성훈, 홍희주, 2021, 해외주식 위탁 포트폴리오의
    운용유형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황준호, 유제용, 2021, 국내 자산운용사를 활용한 해외투자 방안 검토,
    국민연금연구원
  • - 황준호, 오지열, 배경훈, 홍희주. 2020, 국민연금기금의 적정 환헤지 정책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공저) 2017년~2019년 국민연금 기금운용 성과평가, 국민연금연구원
  • - (공저) 2017년~2019년 상반기 국민연금 기금운용 성과평가, 국민연금연구원

[논문]

  • - Hwang, Junho, Cho, Eunyoung, 2022, “Pension Fund Trading Behavior and
    the Index Inclusion: Evidence from the Korean Stock Market”, Emerging
    Markets Finance and Trade, Online Published
  • - 황준호, 2019, “Idiosyncratic risk and Foreign investors: Empirical
    evidence from the Korean Stock Market”, 박사학위논문
  • - 황준호, 2015, “단기 주간 모멘텀 현상의 존재와 수익률 분석”, 선물연구, 23
기금정책팀
성명 김혜리 : 부연구위원, 경영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 경영학사
  • - 한양대학교 회계학과 경영학석사
  • -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재무·세무회계 전공 경영학박사
  • - 부산대학교 경영연구소 박사후연수연구원
  • - 동의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연구원(한국연구재단 박사후국내연수)
  • - 부산대학교 경영연구원 연구교수(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교수)
  • - 부산대, 국립경상대, 경성대 등 외래강사
  • - 교육부 대학재정학과 학자금지원제도심의위원회 위원
주요 연구실적
  • - 2016년 제60기 제16회 경영학연구 최우수논문상
  • - 김혜리, 허익구. (2020). 기업의 수명주기와 사내유보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35(4), 71-100.
  • - Kim, H. (2020). The Effect of Type of Largest Shareholder Change on Losses:
    Focusing on Firm Risk.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6), 237-244.
  • - Kim, H., Yu, S. (2019). The Effect of Labor Unions on Manager’s Cash
    Compensation and Pay-performance Sensitivity.
    KOREAN INTERNATIONAL ACCOUNTING REVIEW, 88, 51-75.
  • - 유순미, 김혜리 (2019). 행정소송판례 검토를 통한 양도소득세법 개선방안-상속
    ㆍ증여받은 자산의 양도를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8(4), 61-78.
  • - 김혜리. (2019). 노동조합이 기업 구조조정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제회계연구, 84, 19-45.
  • - 김혜리, 허익구. (2019). 노동조합이 경영자-종업원 보상격차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34(1), 501-522.
  • - 김혜리, 김정교. (2018). 통합도산법의 기존 관리인 유지제도가 구조조정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31(12), 2191-2222.
  • - 김혜리. (2018). 최대주주 변경의 유형이 기업위험에 미치는 영향.
    상업교육연구, 32(1), 71-98.
  • - 김혜리, 김정교. (2018). 이해관계자 중심 기업지배구조가 자산손상 인식의
    재량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31(2), 377-403.
  • - 김현진, 김혜리. (2017). 최고경영자의 재량권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경영연구, 32, 117-144.
  • - 김혜리, 김정교. (2017). 기업의 사내유보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자본구조이론을 중심으로. 회계학연구, 42(3), 211-257.
  • - 김혜리, 김정교. (2017). K-IFRS 도입이 자산손상차손 지속성과 자본시장 반응에
    미치는 영향. 국제회계연구, 72, 99-132.
  • - 김혜리, 김정교. (2016). 사내유보와 자본조달비용의 관련성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상업교육연구, 30(5), 179-208.
  • - 김정교, 김혜리, 차정화. (2015). K-IFRS 도입 후 유형별 자산손상차손의
    미래경영성과 예측. 상업교육연구, 29(6), 131-156.
  • - 김혜리, 김정교. (2015). 자산손상차손 인식기업의 이익지속성과 자본시장의 반응:
    재량적 자산손상차손 인식을 중심으로. 회계저널, 24(6), 187-234.
  • - 김정교, 김혜리. (2015).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정보비대칭과 내재자본비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국제회계연구, 63, 115-140.
  • - 김현진, 김혜리. (2015). 자산손상차손 인식이 정보비대칭에 미치는 영향.
    회계와정책연구, 20(4), 135-164.
  • - 김정교, 김혜리, 김정호. (2015). 지주회사 체제 밖의 계열회사를 이용한 재벌의
    이익조정. 경영학연구, 44(2), 543-585.
  • - 김정교, 김혜리, 김현진. (2014). 경영자소유권과 보수주의가 내재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회계정보연구, 32(4), 33-66.
  • - 김혜리, 이윤경, 고종권. (2012). 재무이익-세무이익 차이가 투자자의 의견차이에
    미치는 영향. 세무학연구, 29(3), 191-222.
  • - 김혜리, (2016) 기업지배구조가 자산손상차손 인식의 재량성과 발생액 관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기금정책팀
성명 안근배 : 부연구의원, 재무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시드니공과대학교 재무학 박사
  • - 홍익대학교 경영학 석사
  • - 홍익대학교 독어독문학, 경영학 학사
  • - 한국투자증권
  • - 한국채권연구원
주요 연구실적
  • - Keunbae Ahn, Jihye Park, Kihoon Hong, 2021, “The Value-at-Risk of
    Time-Series Momentum and Contrarian Trading Strategies”,
    Journal of Risk Model Validation, 15(3), 35-63
기금정책팀
성명 홍희주 : 주임연구원, 경제학 석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한성대 경제학 학사
  • - 한성대 경제학 석사
주요 연구실적
  • - 홍희주, 노정희,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적립이 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회계정보연구 39, 1-31, 2021
  • - 권도형, 노정희, 홍희주, 매크로 팩터기반 자산배분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2020
  • - 홍희주·김상봉, 최고금리 변동에 따른 금융기관 저신용자의 배제 규모에 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2018
  • - 김상봉·홍우형·김시언·홍희주, 카드 가맹점 수수료 개편 방향,
    신용카드리뷰 11(3), 1-22, 2017
기금정책팀
성명 정다빈 : 주임연구원, 경제학 석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연세대 경제학 학사
  • - 연세대 경제학 석사
주요 연구실적
  • - 정다빈, 나현대, 김선우, 디지털 금융산업 활성화를 위한 망 분리 규제개혁
    정책연구-데이터 중심의 핵심가치 보호와 개발 효율성을 중심으로-,
    KAIST KPC4IR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 REPORT No. 11, 2020
  • - 정다빈, 수신고객구조가 저축은행 위험 및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2017
기금평가팀
기금평가팀
성명 김현석 : 기금평가팀장, 부연구위원, 경영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성균관대학교 경영학 박사(재무금융 전공)
  • - 경북대학교 경영학 석사(금융 전공)
  • - 계명대학교 경영학 학사
  • -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BK21 연구교수
  • - Financial Risk Manager (FRM), GARP
주요 연구실적
  • - 박영규, 김현석, 주효근, 2015, “국민연금기금의 대체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방안 연구”, 재무연구, 제28권 제2호, 73-105.
  • - Hyunseok Kim, Jaisang Kim, Kyeong-Seop Choi, 2017,
    “The Ambivalent Impac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Firm Value in Emerging
    Markets: The Case of Korea”, Journal of Business Economics
    and Management 18(2), 258-272.
  • - 김현석, 서정원, 2018, “무상증자, 액면분할, 주식배당: 주가와 거래량 효과”
    한국증권학회지, 제47권 제1호, 27-67.
  • - 김현석, 2018, “부채만기구조와 주가급락위험”, 자산운용연구,
    제6권 제1호, 27-52.
  • - Hyunseok Kim, Ju Hyun Kim, 2019,
    “Voluntary zero-dividend paying firms: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Applied Economics 51(50), 5420-5446.
  • - Hyunseok Kim, Jong Eun Lee, Kyojik Roy Song, 2020,
    “The optimism and accuracy of bank-affiliated analysts’ forecasts”,
    Spanish Journal of Finance and Accounting 49(4), 503-524.
  • - Hyunseok Kim, Jayoung Ko, Chulhee Jun, and Kyojik Roy Song, 2020,
    “Going Public through Mergers with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ies”, International Review of Finance
  • - 박진, 김현석, 서정원, 2020, “한국 상장기업 자사주매입 활동의 특질”,
    한국증권학회지, 제49권 제5호, 643-679.
기금평가팀
성명 노정희 : 부연구위원, 경영학 박사, CFA
주요 학력 및 경력
  • - 부산대학교 전자전기통신공학 전공 공학사
  • - 부산대학교 회계학 전공 경영학석사
  • - 부산대학교 재무·세무회계 전공 경영학박사
  • - 삼성SDI Plasma display 개발팀
  • - 한국정부회계학회 이사
  • - CFA charterholder
주요 연구실적
  • [연구보고서]
  • - (공저) 2019년 ~ 20년 국민연금 기금운용 성과평가, 국민연금연구원
  • - (공저) 2019년 ~ 21년 상반기 국민연금 기금운용 성과평가,국민연금연구원
  • - (공저) 2020년 ~ 21년 목표초과수익률 설정에 관한 연구,국민연금연구원
  • - 노정희, 조은영, 태엄철, 2021. 대체투자 ESG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사모투자편
  • - 노정희, 권도형, 태엄철, 2020, 대체투자자산 공정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권도형, 노정희, 홍희주. 2020, 매크로 팩터 기반 자산배분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노정희, 태엄철, 2019, 국민연금의 투자가 기업의 회계투명성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국민연금연구원
  • [논문]
  • - (교신) 2021, What are the determinants and managerial motivations for
    employee ownership in retirement pension plans?,
    North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 - (공동) 2021, Company stock in defined contribution plans and stock market
    returns, Global Business and Finance Review
  • - (교신) 2021,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적립이 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회계정보연구
  • - (교신) 2021, 공적연기금의 주주행동주의는 기업의 회계투명성을 제고하는가?,
    회계저널
  • - (공동) 2021, 투자자 심리와 이익조정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회계저널
  • - 2021년 추계공동학술대회 대한경영학회 우수발표상
  • - 2018년 한국증권학회 최우수논문상 (금융기관, 연기금, 펀드 분야)
  • - (단독) 2018, 국민연금의 배당압력과 기업의 투자효율성,
    한국증권학회지
  • - (단독) 2017, 퇴직급여 과소적립 위험에 대한 한국 주식시장의 평가,
    한국증권학회지
  • - (교신) 2017,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채무 대비 연금자산의 적립수준이 회사채 신용
    등급에 미치는 영향, 한국증권학회지
  • - (교신) 2017, 우리나라 상장기업은 K-IFRS 도입을 전후하여 보고영업현금흐름을
    조정하는가?, 회계학연구
  • - (교신) 2016, 자발적으로 공시된 탄소배출정보의 유용성, 회계학연구
  • - (교신) 2017,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risks on firm value: Evidence from
    the Korea, Global business & finance review
  • - (교신) 2018,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risks and cost of capital
    (Global business & finance review)
  • - (공동집필) 2018, Firm Value - Theory and Empirical evidence, Intechopen,
  • - (제1저자) 2018, 퇴직급여적립수준과 투자효율성 간의 관련성, 대한경영학회지
  • - (교신) 2017, 기업의 온실가스배출량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 - (제1저자) 2016, IMD 회계투명성 지수에 대한 회계학적 평가, 산업경제연구
  • - (제1저자) 2015, K-IFRS 도입전후 퇴직급여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비교,
    대한경영학회지
  • - (제1저자) 2015, K-IFRS적용 확정급여형 퇴직급여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산업경제연구
  • - (제1저자), 2014, CSR 활동이 재무적제약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 - 노정희, 2017, 퇴직급여 과소적립 위험에 대한 한국자본시장의 평가,
    박사학위논문
기금평가팀
성명 이은광 : 부연구위원, 경제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 박사
  • -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 석사
  • - 동아대학교 경제학 학사
주요 연구실적
  • - 가격제한폭 확대 효과 연구: 한국 증시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2023
  • - 재무회계 특성과 편의들을 고려한 코스피 상장기업 내 규모와 BE/ME간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2018
  • - 주가변동성에 대한 가격제한폭 확대 효과 : 포트폴리오 수익률과 EGARCH 모형을 이용하여(단독, 2022)
  • - 연기금의 투자 배제전략이 기업 주가와 투자성과에 미치는 영향 - GPF-G, ABP, AP의 국내 배제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 (공저, 2022)
  • - 가격제한폭의 확대가 주가변동성에 미치는 영향(공저, 2021)
기금평가팀
성명 최병호 : 부연구위원, 경영학 박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연세대학교 경영학 박사
  • - 연세대학교 경영학 석사
  • - 광운대학교 경영학 학사
주요 연구실적
  • - 자산운용사와 혼합형 펀드의 교차자산보유에 관한 실증 연구, 2019, 신현한, 어준경 공저, 재무연구, 제32권 제4호.
  • - 상장지수펀드의 주식보유비중과 변동성에 관한 검정, 2022, 한재훈, 김시청 공저, 한국증권학회지, 제51권 제3호.
기금평가팀
성명 태엄철 : 전문연구원, 경제학 석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시립대 경제학과
  • - 고려대 경제학 석사
  • - 에너지경제연구원 위촉연구원
  • - 화학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
주요 연구실적
  • - 정문경·최장훈·태엄철, 2014, 국민연금 기타대체투자의 수익과 위험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노상윤·민성훈·이영호·태엄철, 2014, 국민연금 국내부동산 벤치마크 사용자지수
    산출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강대일·정문경·노상윤·황정욱·태엄철, 2014, 2013년 국민연금 기금운용
    성과평가, 국민연금연구원
  • - 황정욱·태엄철, 2014, 2014년 상반기 국민연금 기금운용 성과평가 보고서,
    국민연금연구원
  • - 노상윤·정문경·김창기·태엄철, 2013, 국민연금 액티브운용 능력평가 및 목표설정
    방안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노상윤·태엄철·허강무·이영호, 2013, 국민연금 국내부동산 벤치마크 지수개발에
    관한 연구(I), 국민연금연구원
  • - 노상윤·정문경·강대일·황정욱·태엄철, 2013, 2012년 국민연금 기금운용 성과평가,
    국민연금연구원
  • - 황정욱·태엄철, 2013, 2013년 상반기 국민연금 기금운용 성과평가 보고서,
    국민연금연구원
기금평가팀
성명 강태현 : 주임연구원, 산업공학 석사
주요 학력 및 경력
  • - 경희대학교 산업경영공학 석사
  • - 경희대학교 산업경영공학 학사
  • - Financial Risk Manager - Certified by the Global Association of Risk Professionals
    (GARP)
주요 연구실적
  • [국내외 학술논문]
  • - Kim, J. H., Lee, Y., Kim, W. C., Kang, T., & Fabozzi, F. J. (2024).
    An overview of optimization models for portfolio management.
    The Journal of Portfolio Management, 51(2), 101-117. [SSCI]
  • - Kang, T., & Cho, E. (2024). The day-of-the-week effect on global stock
    market volatility after a market shock.
    Applied Economics Letters, 31(8), 696-701. [SSCI]
  • - Kim, J. H., Han, J., Kang, T., & Fabozzi, F.J. (2023). A machine learning
    approach for comparing the largest firm effect. Emerging Markets
    Review, 54, 100995. [SSCI]
  • - Kim, J. H., Kang, T., Yu, J., & Fabozzi, F. J. (2021). Analyzing Markets with a
    Large Public Company: The Case of South Korea, The Journal of
    Portfolio Management, 47(7), 162-171. [SSCI]
  • - 강태현, 2020, “국내 주식시장의 위험기반 포트폴리오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 [연구보고서]
  • - (공저) 2020년 ~ 23년 국민연금 기금운용 성과평가, 국민연금연구원.
  • - (공저) 2021년 ~ 24년 상반기 국민연금 기금운용 성과평가, 국민연금연구원.
  • - (공저) 2021년, 2022년도 국민연금기금의 목표초과수익률 설정관련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공저), (2021). 기금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최웅비, 안근배, 태엄철, & 강태현. (2024). 기준포트폴리오 도입에 따른
    성과평가보상체계 개편 방안. 국민연금연구원.
  • - 최웅비, 안근배, 강태현, & 정다빈. (2024). 기준포트폴리오 체계 도입을
    반영한 ALM 시스템 모듈 개선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최영민, 김장호, & 강태현. (2024). 장기자산수익률 모멘트 추정 개선에 관한
    연구 - Machine Learning을 중심으로. 국민연금연구원.
  • - 김현석, 김혜리, & 강태현. (2024). 주식 듀레이션을 고려한 국민연금기금의
    국내주식 부문 진단 및 활용방안. 국민연금연구원.
  • - 김현석, 김재욱, & 강태현. (2023). 해외주식 액티브 위탁부문 수익률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김현석, 강태현, & 이나경. (2023). 인플레이션 헤지를 고려한 국민연금기금의
    투자방안. 국민연금연구원.
  • - 최웅비, 강태현, & 유제용. (2022). 차세대 ALM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및 관리 (I). 국민연금연구원.
  • - 노정희, 황준호, 김재욱, 태엄철, & 강태현. (2022). 국민연금기금의 책임투자
    평가방안에 대한 연구-평가체계수립 및 도입방안 중심으로. 국민연금연구원.
  • - 김현석, 김재욱, & 강태현. (2022). 기업 ESG 특성과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김재욱, 김현석, & 강태현. (2022). 국민연금기금의 매매회전율과 성과의 관계.
    국민연금연구원.
  • - 황정욱, & 강태현. (2021). 국민연금기금 포트폴리오의 위험분해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김현석, 김재욱, & 강태현. (2021). 국민연금의 국내주식 투자와 투자대상 기업의
    주가급락 위험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 - 김재욱, 김현석, & 강태현. (2021). 국민연금 위탁펀드 포트폴리오 분석: 대리인
    문제를 중심으로. 국민연금연구원.
[ 담당 : 연구원 연구지원부 ]
청렴한 국민연금, 든든한 노후행복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상담전화는 국번없이1355(유료)


빠른서비스

빠른서비스

  • 지사찾기
  • 서식찾기
  • 이용자 안내
  • 인터넷 납부(반/추납 등)
  • 내연금 알아보기
  • 상담신청(질문하기)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