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외환관리정책
환헤지 정책의 의의
- (환헤지) 파생상품 거래 등을 통해 미래 환율을 고정시켜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는 수단
- (외환 익스포저) 외환의 변동성 리스크에 노출된 투자 규모
- 해외투자 시 필연적으로 가지게 되는 외환의 익스포저와 관련된 위험관리 및 운용을 위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환헤지 정책 체계
- 해외자산 투자 시 전략적 환헤지 비율을 설정하여 관리
- 기금운용본부는 외환익스포저의 규모를 허용범위 내에서 전술적으로 조정 - 환헤지되지 않는 해외자산의 경우 특정 통화에 집중되지 않도록 전략적 통화구성 방안 마련
해외 자산의 전략적 환헤지 비율 설정 경과
자산군 | ‘07년 기금위 (최초 설정) |
‘09년 기금위 (변경) |
‘15년 기금위 (변경) |
---|---|---|---|
해외채권 | 100% | 100% | 0% |
해외주식 (해외대체 포함) |
50% | 0% | 0% |
전략적 환헤지 목표 | 개별 자산군 위험 최소화 |
전체 자산 위험 최소화 |
전체 자산 위험 최소화 |
- 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 의결 결과에 따라 환헤지 비율을 현행 0%에서 시장 상황에 따라 최대 10%까지 한시적으로 상향(2022.12.16)
전술적 외환익스포저 규모 조정
- 총 외환익스포저의 ±5% 이내에서 환율변동에 따라 외환익스포저 규모 조정
- ‘17~’18년 ±3% → ‘19년 ±5%
담당
- 운용전략실 투자전략팀
해당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국민연금 고객센터
국번없이
1
3
5
5
(유료)